미디어 속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한국강사신문] ‘예썰의 전당’ 유홍준 교수와 함께 하는 망우역사문화공원…BTS RM 애정하는 조각가 권진규의 삶 소개

조회수 178

[한국강사신문 이미숙 기자] <예썰의 전당>이 ‘망우역사문화공원’에 잠든 위대한 예술가들을 만난다. 공영방송 50주년을 맞이해 <예썰의 전당>은 유홍준 교수와 함께 4부작에 걸쳐 서울의 문화유산을 답사했다. 오는 26일 방영되는 <예썰의 전당>에서는 그 대미를 장식할 주인공으로 ‘망우역사문화공원’을 주목했다.

[사진출처=KBS]

한때 기피 대상이었던 망우리 공동묘지는 현재 많은 시민이 찾는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탈바꿈했다. 황소의 화가 이중섭, 시 ‘님의 침묵’을 쓴 한용운,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유관순 열사 등 망우리역사문화공원에는 우리나라 근현대를 대표하는 위인들이 잠들어있다.

특히, 우리에게 잊힌 위대한 예술가들의 발자취 역시 발견할 수 있다는데. 따뜻한 봄볕이 들기 시작한 망우역사문화공원을 걸으며 그곳에 잠든 이들의 기억을 깨워보고자 한다.

가장 먼저 만나볼 이는 대구를 대표하는 천재 화가 이인성이다. 고갱의 ‘원시적인 색감’을 떠올리게 하는, 대표작 <가을 어느 날>은 붉은 땅과 푸른 하늘의 조화를 통해 한국의 향토적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을 본 김구라는 “한국의 고갱이라 불러도 무리가 없다”라며 감탄했다.

1912년생 이인성은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24살 어린 나이에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최고상을 수상하는 등 그는 온갖 상을 휩쓸며 한국과 일본 화단을 뒤흔들었다.

이인성의 고향인 대구에는 “달리기는 손기정, 춤은 최승희, 그림은 이인성”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인성은 천재의 아이콘이었다. 하지만 이 천재 화가에게는 죽어서도 떨쳐내지 못한 부정적인 꼬리표가 하나 붙어있었다. 유홍준 교수는 이에 관해 설명하다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는데. 이인성에게 붙은 꼬리표는 무엇일까?

이인성과 같이 망우역사문화공원에 잠든 예술가는 또 있다. 조각가 권진규이다. 그런데 이 권진규가 ‘생각하는 사람’을 조각한 로댕의 제자라는 썰이 등장해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에 대해 김인혜 학예사는 로댕-부르델-시미즈 다카시-권진규로 이어지는 사제관계 때문이라며, 로댕의 사실적인 묘사는 권진규의 작품에도 그대로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청년>, <지원의 얼굴> 등 골격을 바탕으로 한 생생한 묘사가 돋보이는 그의 작품은 일본에서 열린 개인전에서 엄청난 호평을 받았다. 한국미술애호가로 잘 알려진 방탄소년단 RM 역시 권진규의 <말>이라는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그런데 권진규의 말년에 대해 알게 된 출연자들은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는데. 지금은 망우에 편히 잠든 권진규. 그의 마지막은 어땠을까. 그를 사랑하는 RM의 목소리로 권진규의 마지막 순간을 들어본다.

비극적인 생을 마치고 망우에 함께 잠듦으로써 죽어서 친구가 된 두 천재 예술가, ‘이인성’과 ‘권진규’. 이들은 왜 우리에게 잊힌 것일까. 이에 대해 유홍준 교수는 사람들이 관심이 없고 공부를 안 해서 그렇다며, “이건 KBS가 반성해야 한다”라고 일침을 날려 모두를 웃프게(?) 했다.


[사진출처=KBS]

한편, 망우역사문화공원에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친구였던 두 위인이 잠들어있다. 바로 ‘어린이들의 영원한 친구’, ‘방정환’과 ‘강소천’이다. 먼저, 소파 방정환은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최초의 아동 잡지를 발간하는 등 어린이의 인권 신장에 힘쓴 인물이다.

심용환은 방정환을 “어린이와 관련된 각종 콘텐츠를 만들었던 ‘조선의 에듀테이너’”로 소개하며, “내가 많이 따르고 있는 부분”이라고 존경을 표했다. 비교적 생소한 이름의 강소천 역시 아동문학의 대부로서 어린이를 위해 많은 작품을 써냈다. 그의 시로 만든 동요만 100여 편에 이르는데, <코끼리 아저씨>, <스승의 은혜> 등 그의 작품은 시대를 초월해 전 세대를 아우른다. 살아생전에는 어린이를 위해 평생을 바치고, 죽어서는 망우역사문화공원에 함께 묻힌 두 절친. 그들에 얽힌 예썰을 풀어본다.

마지막으로 유홍준 교수는 꼭 소개하고 싶은 특별한 분이 있다며 한 묘를 보여줬다. 묘비에는 “한국인의 마음속에 살다 간 일본인. 여기 한국의 흙이 되다”라고 적혀있고, 그 옆엔 팔각백자항아리 조각이 있는 특이한 묘. 이 무덤의 주인은 다름 아닌 일본인이라는데. 우리나라 위인들과 함께 망우역사문화공원에 잠든 이 일본인의 정체는 <예썰의 전당>에서 밝혀진다.

유홍준과 함께하는 <예썰의 전당> 45회 마지막 이야기인 망우역사문화공원을 다시 걷다, <기억을 걷는 시간 - 망우역사문화공원>편은 2023년 3월 26일 (일) 밤 10시 30분 KBS1TV에서 방송된다.

*<유홍준 교수 프로필/작품활동> 유 교수는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했다.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 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와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개설했으며,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았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장, 문화재청장을 역임했다.

현재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를 정년으로 퇴임한 후 석좌교수로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저작상(1998),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 1~8, 일본편 1~4)>,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1·2)>, <완당평전(1~3)>, <국보순례>, <명작순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1~3)>, <석농화원(공역)>, <안목> 등이 있다.

*<예썰의 전당 정보> 하나의 예술 작품에는 예술가의 삶뿐만 아니라 당대의 시대상과 사회상이 담겨 있고, 그 때문에 예술가 개인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해서 역사적, 미학적, 나아가 의학, 과학, 심리학, 경제학적 접근까지 다양한 감상법이 존재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썰'을 푸는 걸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박사들이 모여 예술 작품을 둘러싼 창의적인 감상법을 공유한다. 공식영상, 회차정보, 시청률, 방송시간까지도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교양 프로그램이다.

출처 :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


관련기사

뉴시스 :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326_0002241223&cID=10601&pID=10600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와 함께 하면
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와 함께 하면

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143길 16 아성플러스2층

(명일동)

TEL 02-6097-0106~8

FAX 02-6104-0106

Email syh@historynedu.kr


COPYRIGHT ©심용환역사N교육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05257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143길 16 아성플러스 2층(명일동)

TEL 02-6097-0106~8    FAX 02-6104-0106    Email syh@historynedu.kr

COPYRIGHT ©심용환역사N교육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