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속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세계일보] “대통령 역사의식 의심”… 역사학자가 본 尹 3·1절 기념사 [이슈+]

尹 “세계사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 기념사에

고종과 조선의 실패는 ‘일방주의 외교노선’ 때문…“지금은 다른가”

“최근 보수정당 극단주의에 경도되고 있는 듯…극히 우려스럽다”

“욕 먹을 것 알면서도 할 말 한 것…역사의 굴레 벗어야” 평가도

윤석열 대통령의 첫 3·1절 기념사가 정치권 공방으로 번졌다. 야권에서는 ‘친일 본색’이 드러났다며 맹공을 퍼붓고 있다. 여권은 윤 대통령이 이번 기념사에서 일본을 ‘파트너’로 규정하며 협력 의지를 드러낸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대통령실 역시 2일 ‘시민단체,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친일사관에 동조했다는 비판이 나온다’는 질문에 “한국과 일본에는 두 세력이 있는 거 같다”며 “한쪽은 어떻게든 과거를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자는 세력, 또 하나는 어떻게든 반일 감정과 혐한 감정을 이용해서 정치적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의 이번 3·1절 기념사에는 이전 대통령과 다르게 한·일 과거사 문제 등이 담기지 않은 데다, 일본에 사죄나 반성을 요구하는 발언도 없었다는 점을 꼬집고 있다. 특히 일부 표현에서는 일제 침략을 정당화하는 ‘식민사관’이 담겨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지난 1일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과연 역사학자들은 윤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어떻게 봤을까.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소장은 2일 페이스북에 “3.1절에 대통령 기념사가 논란이 되니 참으로 마음이 아프다”며 “몇 가지는 꼭 짚고 넘어가야겠다”고 적었다. 

 

먼저 윤 대통령이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언급한 것을 두고, 심 소장은 “맞다. 그런 측면이 있다. 청나라, 일본, 러시아 등 열강의 각축전이 당시의 급박한 사정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고종과 조선이 변화에 대처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 ‘일방주의 외교노선’을 들며 “오늘 우리의 대통령과 집권여당은 그때 그들과 얼마나 다를까”라고 반문했다.

 

윤 대통령의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협력 파트너로 변했다”는 발언에는 “실소를 금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심 소장은 평가했다. 그는 “최근 일본의 혐한현상은 극우가 아닌 일상의 태도가 되어가고 있다”며 “자민당의 보수주의가 종래의 틀을 넘어 헌법개정, 재무장으로 옮겨가고 있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일은 적당한 갈등과 의미있는 협력을 반복해왔다”며 “그런데 오늘 우리의 대통령과 집권여당은 자신들의 정체성, 국민의 보편적 정서에서 급격히 멀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이 “104년 전 3.1 만세운동은 기미독립선언서와 임시정부 헌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로운 민주국가를 세우기 위한 독립운동이었다”라고 말한 것에는 “적합한 주장이 아니다”라고 심 소장은 일축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헌장 3조 ‘제3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남녀 귀천 및 빈부의 계급이 없고 일체 평등하다’를 예로 들어 “혁명가(독립운동가)들과 민중들은 조선과는 다른 ‘일체 평등’의 사회를 꿈꿨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 우리의 대통령과 집권여당의 역사의식이 의심되는 지점”이라고 꼬집었다.

'제104주년 3.1절 범국민대회' 참가자들이 지난 1일 서울광장에서 '윤석열 굴욕외교 OUT' 문구가 적힌 대형 현수막을 펼치고 있다. 뉴스1


심 소장은 “한국의 보수정당은 많은 한계와 약점을 지녔지만 민주화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과 변화를 거듭했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적어도 의식적인 측면에서 극단주의에 경도되고 있는듯하여 극히 우려스럽다”고 했다. 이어 “자주, 중립 등 종래의 개혁적 언어를 비판할 수는 있다. 그런데 그 결과가 과거 빨갱이 운운하던 시절보다 못한 저열한 극단주의와 극우적 인식이라면 이 민족과 이 나라의 운명은 뻔한 방식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적었다.

 

반면 윤 대통령의 이번 기념사를 높게 평가한 전문가도 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역사학자는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일본에 대한 관성적인 주장들을 의식하지 않고 우리를 칭칭 감고 있던 굴레를 끊어줬다”며 “욕먹을 것 알면서도 할 말을 한 것을 높게 평가한다. 당장 눈앞의 이익이 아니라 멀리 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에서는 이를 긍정적인 시그널로 받아들였을 것이고, 이걸 기반으로 해서 한일관계 개선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역사의 질곡, 역사의 굴레로부터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하나씩 풀어가게 되면 괜찮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기사원문 :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302522410?OutUrl=naver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와 함께 하면
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와 함께 하면

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143길 16 아성플러스2층

(명일동)

TEL 02-6097-0106~8

FAX 02-6104-0106

Email syh@historynedu.kr


COPYRIGHT ©심용환역사N교육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05257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143길 16 아성플러스 2층(명일동)

TEL 02-6097-0106~8    FAX 02-6104-0106    Email syh@historynedu.kr

COPYRIGHT ©심용환역사N교육연구소 ALL RIGHTS RESERVED.